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데미 강의 중 Spring Boot 3 & Spring Framework 6 마스터하기! 에 대한 강의 후기를 남겨보려 합니다. (강의 링크 : https://www.udemy.com/course/spring-boot-and-spring-framework-korean/ ) 들어가기 앞서 2023년 11월부터 글또에 처음 참여하게 되어, 우연한 기회에 유데미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백엔드와 관련된 강의 중에 최신 Spring Boot 3 기반으로 이루어진 강의가 있어 다시 한번 Spring과 Spring Boot 기본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Spring Boot 3 & Spring Framework 6 마스터하기! 강의를 수강하기로 했습니다. Spring Boot 3 &..
1. 배경설명 지난 며칠간 사이드프로젝트 DB 컨테이너화 한다고 docker-compose.yml 설정 중에 한글 초기화 데이터 깨짐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찾아보면 해결방법은 나와있는데 원인분석된 포스팅은 없는 것 같아 정리하기위해 본 포스팅 작성을 결정했습니다. ※ 여러 자료를 참고해서 정리한 포스팅이긴 하나 일부 뇌피셜부분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2. Default character set 설정과 Command 명령어 추가 시 비교분석 및 결론 Command 없이 Mysql을 생성했을 경우와 Command 명령어 추가 후 Mysql을 생성했을 때, 결과 동일합니다. 이는 아래 예시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실제 테스트를 통한 결과입니다. 1) command 명령 없이 Mysql 생성했을 경우 docke..
※ 3줄 요약 도커 컨테이너는 독립적인 개발환경 구축에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도커를 통해 프로젝트 개발 환경 공유가 간편합니다. 도커 짱짱맨!! 도커 씁시다 여러분. 1. 배경설명 최근 지인의 권유로 사이드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과거 주가 데이터를 이용해 특정 조건으로 주식을 거래했을 때 얼마의 수익이 났는지 계산해 주는 프로젝트로, Spring boot+JDBCtemplate와 Flutter로 개발 중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주식 관련 도메인이 신선해 보였고, Flutter를 사용한다기에 신기술도 접해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추가적으로 JDBCtemplate을 Spring Data JPA와 QueryDSL을 이용해 리팩토링 해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아 프로젝트에 합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개발환..
스프링 기본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Q1. Spring Container vs Spring Context vs IOC Container vs Application Context Spring Container : 스프링 빈과 각 빈의 생명주기를 관리 Spring Container는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는데 Spring Context, IOC Container Spring Container 에는 2가지 종류가 있음. Bean Factory : 기본 Spring Container Application Context : 엔터프라이즈에 특화된 고급 Spring Container 손쉬운 웹 애플리케이션 사용 지원 손쉬운 국제화 지원 손쉬운 Spring AOP와 통합 지원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 : Applica..
3줄 요약 - 12월 28일 야간 WAS Shutdown 발생 - 원인 분석 1) 담당 개발자가 소스 배포 시 수행 스크립트를 잘못 선택 2) JEUS down, boot 실행 스크립트를 연속 2번 실행 -> JEUS 부팅 중 Timeout으로 인지해 failed - 해결 방안 : WAS 재기동 Script 수정 1. 상황설명 12월29일 00시경 IDC OP 담당자가 제니퍼 모니터링 중 XX서버 JEUS 인스턴스가 Shutdown 된 것을 확인 후 연락 00시 10분 : 원격으로 해당 서버 접속 후 JEUS 확인 및 로그 확인 00시 20분 : 해당 서버 ANT 로그 확인 및 ANT 스크립트 확인 * JEUS 확인 : 2번 서버 프로세스 failed 상태 확인 ps -ef |grep jeus | gre..
WebSocket 이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메시지 교환을 위한 통신 규약 웹소켓 프로토콜(WebSocket Protocol)은 HTTP와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가 서로 실시간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사용됩니다. 웹소켓 연결을 맺기 위한 첫 번째 handShake를 주고받은 이후 지속적으로 연결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며, 매번 메시지 전송 시에 새롭게 연결을 맺을 필요가 없어 빠르고 효율적이다. 웹소켓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전송 제어 프로토콜) 소켓과 이름만 유사할 뿐 브라우저의 소켓이며, 웹소켓 프로토콜은 HTTP와 동일하게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또한, 웹소켓은 평문 메시지 전송방식으로, SSL/TLS 보안 계층으로 암호화되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boot
- BufferedWriter
- Java
- 자바
- Comparator
- NLU
- BufferedReader
- Spring
- RASA
- 취리코
- 취업리부트코스
- 항해99
- 챗봇
- 백준
- script
- 재기동
- 객체정렬
- 코딩테스트
- BFS
- dxdy
- JWT
- 유데미
- 나만의챗봇
- Comparable
- 글또
- thymeleaf
- 코드트리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회고록
- 개발자취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