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boot에서 Swagger 적용 시 Swagger 어노테이션을 직접 Controller와 DTO에 적용했었다. 이 경우 두 가지 단점이 존재했다.1. 백엔드와 프론트가 동시에 작업할때 API 명세를 하기위해 Controller와 DTO를 정의 후 어노테이션을 적용해야하는 번거로움2. Swagger 어노테이션으로 인해 코드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가독성 또한 떨어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 yaml 파일로 apidoc을 정의하고 이를 Swagger가 읽어 들여 적용하는 방식을 알게되었다.API 명세서를 기반으로 api-docs.yaml 을 정의하고, 백엔드와 프론트가 각각 해당 문서를 기반으로 각자 업무를 병렬로 수행할 수 있는 점과 필요 시 백엔드 서버가 없이 프론트 ..
프레임워크/Spring & Spring boot
2025. 5. 25. 23:29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JPA
- Spring
- BufferedWriter
- BufferedReader
- NLU
- BFS
- thymeleaf
- 코딩테스트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재기동
- 취업리부트코스
- 취리코
- 개발자취준
- dxdy
- 글또
- script
- springboot
- 코드트리
- JWT
- 유데미
- RASA
- 나만의챗봇
- PostgreSQL
- 챗봇
- 항해99
- 객체정렬
- Java
- spring boot
- 백준
- 자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